본문 바로가기

ALL113

근로자 건강진단제도(건강진단의 종류/건강진단 실시시기 등) 근로자 건강진단 근로자는 일하는 동안 다양한 유해인자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진단을 통해 건강이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여 직업성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에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사업주가 상시 근로자에 대해 일반건강진단을 하도록 하고, 보다 각별한 건강관리가 필요한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일반건강진단에 더하여 배치 전 건강진단·특수 건강진단·수시 건강진단을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근로자 건강진단의 종류일반건강진단 - 근로자의 건강 보호·유지 및 주기적인 업무적합성 평가를 위함특수건강진단 - 유해인자 노출업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직업병 예방 및 해당 노출업무에 대한 주기적인 업무적합성 평가를 위함배치 전 건강진단 - 유해인자 노출업무에 신규로 배치되는 근로자의 기초 건강자료를 .. 2024. 10. 27.
자동차 소포품 교체 주기 확인하기(초보운전, 엔진오일, 연료필터 등) 자동차 소모품 교체 주기 자동차는 엄연히 소모품입니다. 반짝반짝 빛나는 새 차라 할지라도 결국은 닳고 무뎌지지요. 자칫 잘못해 사고라도 나면 큰일입니다. 안전을 위해서라도 소모품은 제대 갈아야 합니다. 자동차 센서가 알아서 알려주기도 하지만, 스스로 체크해야 할 부품이 많습니다.  주기적으로 신경 써야 할 소모품을 점검 주기 순으로 정리했습니다. 시기를 놓치지 말고 꾸준히 관리해, 소중한 내 차와 오래오래 함께해야겠습니다.✅ 5,000㎞~ 엔진오일한 달에 한번 확인, 5,000㎞~1만㎞마다 교체 엔진오늘은 자동차의 혈액과 같습니다. 각 부품이 마모되지 않게 하고 부식을 방지하고, 엔진을 냉각시킵니다. 그 역할이 무척 중요해 최신 차량에는 엔진오일 잔여량을 알려주는 센서를 장착하고 있습니다. 엔진오일 상.. 2024. 10. 25.
선반기계 작업안전(재해유형, 안전점검표 다운로드) 선반기계[자료출처 - 안전보건공단] 공작물을 주축에 고정하여 회전하고 있는 동안 바이트에 이송을 주어 외경, 절삭, 보링, 절단, 단면 절삭, 나사 절삭 등의 가공을 하는 공작기계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범용선반이라고 하고, 사업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형식은 범용 선반, CNC 선반, 자동 선반 등이다.선반기계 안전점검표 맨 하단 첨부🔽🔽🔽선반기계의 위험요인회전부위 등 위험점 - 회전 부위에 접촉하고나 말림, 주축대, 심압대의 결함에 의한 재해칩 비산에 의하 위험 - 튀는 금속 조각에 의한 눈 또는 신체 부상절삭유에 의한 공기오염 및 피부질환 - 냉각제나 절삭유 때문에 발생된 피부 질환공작물의 낙하에 의한 위험 - 고속 회전하던 공작물이 튕겨져 날아와 작업자를 가격장시간 반복 작.. 2024. 10. 23.
밀링기계 작업안전(재해유형, 안전점검표 다운로드) 밀링기계[자료 출처 - 안전보건공단] 밀링커터나 바이트가 고정된 주축 또는 아버를 회전시켜서 테이블에 고정된 공작물을 이동시키면서 절삭 가공하는 공작기계이다. 평면 가공, 측면 가공, 홈 가공, 기어 가공 등 여러 가지 가공을 할 수 있다.밀링기계는 금속가공 관련 업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설비이며, 자주 사용하는 특성상 위험에 익숙한 나머지 안전조치를 소홀히 하여 다양한 사고(옷말림, 칩 비산, 절삭유 방치로 넘어짐 등)가 발생하고 있어 항상 안전수칙을 준수하고 작업하여야 한다. 밀링기계 절삭 가공부 접촉 및 가공되는 물체의 비산으로 인한 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자율안전확인대상기계로 관리하고 있다. 밀링기계 안전점검표 맨 하단 첨부🔽🔽🔽밀링기계의 종류니형(Knee type.. 2024. 10. 21.